오늘은 정말 중요한 localhos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자신의 컴퓨터(로컬) 주소를 localhost 또는 127.0.0.1이라고 표현합니다.
- localhost ▶ 내 컴퓨터를 가리키는 도메인 (호스트 이름)
- 127.0.0.1 ▶ 내 컴퓨터를 가리키는 IPv4 IP주소
1. DNS?
그럼 로컬호스트와 127.0.0.1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이 차이점을 알려면 DNS라는 것을 꼭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IP주소를 도메인으로 도메인을 IP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서비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저희학교 홈페이지를 들어가려면 "www.e-mirim.hs.kr"를 브라우저 주소창에 치면 들어갈 수 있습니다.
굳이 학교 IP주소인 1.234.23.138를 따로 외워야 하는 수고는 안 해도 되겠죠?
아무 의미 없는 숫자를 외우는 것은 더군다나 더 힘들기도 하고요 ㅠㅠ...
우리는 이 DNS를 사용하여 편하게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에 도메인을 치면 DNS는 도메인을 IP주소로 변환하여 인식합니다.
2. 차이점
그럼 차이점은 무엇이다? ▶ 그냥 우리 편하라고 ...ㅎㅎ
컴퓨터는 숫자로 돌아가는 기계이기 때문에 저희가 숫자를 외워서 치는 것보다
문자로 입력하고 바보 같은 인간을 위해 알아서 숫자로 변환해 주는 똑똑한 친구입니다...
3. php 실행 시 주의사항!
앞으로 php를 하면서 파일을 열어야 하는데 꼭 주의하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일반 클라이언트 언어처럼 파일을 더블클릭하는 행위는 안됩니다....
일단 잊지 말고 꼭 C:드라이브 > Bitnami > wampstack-7.3.21-0 > manager-windows.exe 들어가서
서버 실행해주셔야 합니다.
이 글 참고 부탁드릴게요~!
[php] 2. Bitnami_WAMP 설치부터 시작하는 php
1. Bitnami_WAMP / Bitnami_MAMP란? 가상 어플라이언스 및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스택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및 설치 라이브러리 WAMP? W : Window A : Apache M : Mysql P : Php MAMP? M : Mac A : Apache M : Mysql P : Php Bitnami_
s2208.tistory.com
ex ) php_test 폴더 안에 test1.php라는 파일을 하나 만들어보겠습니다.
:C드라이브 > Bitnami > wampstack-7.3.21-0 > apache2 > htdocs > php_test > test1.php
보통은 이 경로로 들어가서 파일을 더블클릭하죠?
어떻게 되는지 봐볼까요?

Hello PHP! 가 출력되는 화면이 아니라 제 vscode가 열리네요..
이렇게 들어가는 경우는 "클라이언트 언어"입니다!
클라이언트 언어 파일을 여는 방법으로 열었기 때문에 안되는 거예요! php는 서버언어다!
그럼 서버언어는 어떻게 열까요?
아까 저희가 배웠던 localhost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localhost/파일경로...
형식으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아까 저희는 php_test폴더 안에 test1.php파일을 만들었죠?
https:/localhost//php_test/test1.php
그렇다면 저희는 이렇게 접속해 주시면 되겠죠?
한번 실행해 보겠습니다!

꼭 꼭! php 서버언어이기 때문에 로컬호스트로 접속해주셔야 합니다!
잊지 말아요 우리.. 클라이언트처럼 접속했다가 안된다고 찡찡하면 안 돼요 ㅠㅠ....
.
.
.
+ 아이피 주소 따는 법...
cmd에 들어간 후, tracert 도메인 입력하면 아이피 주소 뜹니다...! 알아만 두자고요 우리...ㅎㅎ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 2. Bitnami_WAMP 설치부터 시작하는 php (0) | 2023.04.12 |
---|---|
[php] 1. Server란 무엇일까? (0) | 2023.04.11 |